CONTENTS

CONTENTS

생생한 정보를 통해 고객과 소통합니다

두 얼굴의 야누스

작성일 2018-11-02 17:35

본문

Responsive image

때는 햇볕이 따스하다 못해 약간 뜨거운 열기가 느껴지는 한여름이었다. 땀을 삐질, 삐질 흘리면서 작은 스피커 하나가 레일을 타고 상공 90피트 위로 올라가있다. 그것도 시내가 아니라 아주 조용한 산 속이다. 온도나 지진 아니면 기상상황을 탐색하는 것도 아니다. 무슨 영문인지 모를 이 상황을 찍은 사진이 오디오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게시자는 브라이스턴의 부사장 제임스 태너다.

이 사건의 발단은 제임스 태너의 아이디어로 밝혀졌다. 그는 대부분의 스피커의 측정치를 얻기 위한 무향실의 측정에 대해 문제를 삼았다. 무향실에서 초저역의 측정은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무향실의 크기가 매우 넓더라고 하더라고 85Hz 이하 저역의 정확한 측정은 어렵다고 생각한 브라이스턴을 결단을 내려야했다. 매우 긴 노트의 저역 신호를 흘렸을 때 저역 주파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스피커를 공중에 띄워 측정하기로 했다.

4파이, 360도에서 측정수치를 원했던 브라이스턴은 아침, 저녁으로 90피트 타워 위에 스피커를 올려 테스트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서 브라이스턴은 최초로 그들만의 자랑스러운 서브우퍼 라인업을 갖게 되었다.

브라이스턴의 이처럼 정직하고 극도로 결벽증적인 모습은 사실 그들의 뿌리에서 연유한다. 고정밀 혈액 분석기 등 메디컬 장비를 만들기 위해 1962년 브라이스턴은 시작되었다. 이후 미항공 우주국 NASA 출신 엔지니어 존 러셀이 그의 아들 크리스, 브라이언 러셀과 함께 브라이스턴을 인수했고 이 때부터 브라이스턴은 앰프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당시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 유서 깊은 스튜디오에서 브라이스턴은 가장 정확하고 탁월한 성능의 앰프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물론 이후 홈 오디오까지 그 지평을 넓혀가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물론 앰프에 한정된 이미지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브라이스턴의 라인업을 살펴보면 디지털 섹션이 눈에 띈다. 의료관련 기기나 또는 스튜디오 프로 장비 제작으로 시작한 메이커가 다들 그렇듯 매우 정교한 설계와 측정 수치를 제공하며 디자인은 매우 단순하되 신호 흐름에 있어 탁월한 설계를 보인다. 예를 들어 오디오넷 같은 경우가 그렇다.

Responsive image

"브라이스턴 디지탈"


이런 설계 패턴이 디지털 기기에 응용되었을 때 시너지는 매우 높다. 브라이스턴은 BDA 시리즈 DAC, 그리고 수년 전부터 일기 시작한 네트워크 스트리밍에 대해 BDP 시리즈로 화답했다. 이 외에 국내에 소개되지는 않았으나 옵티컬 디스크 트랜스포터 BOT-1, BUC-1 USB DDC 까지 일사천리로 디지털 라인업을 확장해나갔다. 웹 인터페이스 ‘매닉 뮤즈’를 개발해 제공했고 특히 BDP 시리즈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단지 앰프만을 전문으로 제작하는 메이커로 알고 있던 나는 브라이스턴에게 훅을 한 방 먹은 기분이다.

브라이스턴은 매우 전통적인 설계의 제품을 개발한다. 북유럽의 매우 예술적인 섀시 디자인이나 통절삭을 통해 단가를 올리지도 않는다. 무식하리만큼 간결한, 또는 조금은 시대에 뒤떨어진 디자인을 보인다. 그러나 내부 설계에 있어서만큼은 매우 정직하며 정말로 살벌할만큼 엄격한 측정을 통해 제품을 개발한다. 점층적으로 라인업을 확장해나가던 브라이스턴이 출시한 신제품을 보고는 다시 한 번 그들의 정체를 확인했다. BDA3 라는 모델명, 기존 제품과 전혀 다를 바 없는 섀시 구조와 단조로운 전면 패널 디자인. 물론 사람이든 기기든 외모로만 판단하는 일은 매우 심각한 잘못이다. 실제로 BDA3 는 별로 변한 것 없는 투박한 디자인에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능을 내포한 야누스다.

Responsive image

"또 한번의 업그레이드 - BDA3"


브라이스턴은 DA 변환부에서부터 아날로그 출력단까지 매우 심플하면서 뛰어난 음질을 구현할 수 있는 가장 탁월하며 전통적인 설계를 모두 밟아나가고 있다. 우선 DA 변환부를 살펴보자. 구형에서 입력 샘플링레이트의 한계에 직면했던 것을 의식했는지 이번에 AKM 32비트 칩셋을 채용해 24bit/192kHz PCM 이나 DSD 음원까지 모두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DAC 칩셋은 양 채널에 1개씩 듀얼로 투입했으며 크로스토크 수치를 최소화하고 다이내믹레인지를 최대화기 위해 밸런스드 모드로 설계한 것이다.

Responsive image

후면을 보면 USB 입력단에서 시작해 AES/EBU, TOSLINK 및 COAXIAL 등 의 입력단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USB 입력단은 비동기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USB Class 2 규격에 준하다. USB 입력으로는 PCM 32bit/384kHz 그리고 DSD 의 경우 4XDSD 까지 네이티브로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다. 내부엔 매우 정교한 리클러킹 서킷을 설계해 지터는 거의 측정되지 않는 수준이다.

흥미로운 것은 HDMI 입력단이다. 기존에 나드 M51 같은 DAC에서 볼 수 있었던 HDMI 입력단이지만 BDA3 에 설치된 입력단은 더욱 심열의 기울려 설계되었다. 블루레이 및 SACD를 지원하는 유니버설 플레이어에서 HDMI 로 출력해 2채널 하이엔드 시스템에서 보다 높은 퀄리티의 고음질을 즐길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뿐만 아니라 BDA3 는 HDMI 출력을 지원한다. 이것은 4K 비디오 패스 스루를 지원한다. 따라서 홈 시어터 시스템과 연동도 가능하다. TV 나 AV 서라운드 프로세서와 연결해 BDA3의 고음질을 즐길 수 있다는 뜻이다. 단, DTS 나 돌비 등 서라운드 포맷은 처리할 수 없다.

디지털 장비지만 기본적으로 전원는 모든 오디오기기의 심장이다. BDA3 의 경우 전원부에 대해 어떤 메이커보다 제대로 알고 있는 메이커다. 이번 BDA3 에서는 총 두 개의 독립적인 전원부를 설계해놓고 있다. 디지털 변환부와 아날로그 신호 증폭단 모두 각각 별도의 독립된 정류단을 가지며 상호간섭이 없다. 어떤 레벨, 어떤 디지털 작동 프로세스에서도 전원으로 인한 다이내믹스나 해상도 저하를 막기 위한 방책이다.

아날로그 출력단은 브라이스턴의 오랜 앰프 제작, 설계 과정에서 얻은 노하우가 적용되었고 철저히 자신들의 전통적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어떤 IC 칩셋을 사용하지 않으며 풀 밸런스 구조로 설계했다. 한마디로 풀 디스크리트, A클래스 형태의 아날로그 출력단이다. 이를 위해 트랜지스터나 저항, 커패시터 등은 매우 엄격하게 선별해서 사용했다.

BDA3에서 발견되는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디지털 입력단에 탑재된 트랜스포머다. 디지털 입력단을 통해 흘러들어가는 디지털 데이터는 초당 수백만 비트와 수천만 헤르츠의 밴드위스를 갖는다. 이런 신호의 안정적인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해 BDA3 는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포머를 투입해 모든 입력 신호에 대해 최적화된 터미네이션을 제공한다.

Responsive image

"셋업 & 리스닝"




나의 시스템에서 테스트한 BDA3 의 성능은 기존에 알고 있던 브라이스턴의 사운드 범위 안에 들어왔다. 메인 시스템에서는 다인오디오 컨피던스 C4MKII, 앰프는 플리니우스 분리형 그리고 웨이버사 AMP2.5 등을 사용했다. 또한 서브시스템으로 KEF LS50에 캐리 300B 인티앰프 등을 사용했다. 용도가 다르며 소리 또한 매우 다른 두 시스템이지만 브라이스턴 BDA3 는 자신만의 특성을 두 시스템에서 고스란히, 동일한 패턴으로 보여준다. 음원 트랜스포트로는 오렌더 N10을 사용했으며 이 외에 별도의 트윅은 하지 않고 순정 상태로 테스트했다.





Responsive image
Inger Marie - Kiteflyer's Hill

The Best of Inger Marie

초정밀 의료기기에서 시작해 스튜디오 전문 메이커로서 기반, 이런 것들이 말해줄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착색 없는 정확한 재생음이다. 마스터에 저장된 정보를 최대한 모두 보여주되 절대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잉거 마리의 ‘Kiteflyer's Hill’ 등 여러 보컬 곡 및 피아노 세션을 들어보면 매우 선형적인 특성이 바로 드러난다. 잉거 마리의 보컬이 깊고 무대 중앙 안쪽에 크고 명확하게 자리한다. 브라이스턴 특유의 묵직한 중량감에 더해 전체적인 토널 밸런스는 매우 모범적이며 정교하고 안정감이 넘친다. 베이스 기타와 드럼의 리듬 섹션은 민첩하면서 진행 프로세서가 매우 뚜렷하다. 보컬이나 피아노에서 특별한 착색은 전혀 발견할 수 없다.




Responsive image
Kari Bremnes - A lover in Berlin

Norwegian Mood

흥미로운 것은 최근 나의 리스닝 룸을 거쳐간 브리카스티 M1SE DAC 또한 같은 스튜디오 베이스지만 사뭇 다른 특성을 보인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카리 브렘네스의 ‘A lover in berlin’를 들어보면 각 악기들의 윤곽이 분명하고 골격도 충분히 뚜렷하게 드러나지만 브라이스턴의 경우가 오히려 더 중립적인 느낌을 준다.

이것이 자칫 건조하거나 딱딱한 소리로 흐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BDA3 는 기존 BDA1이나 BDA2 보다 좀 더 섬세하고 유연해진 것이 사실이다.






Responsive image
Peter Gabriel - The Rhythm of The Heat

Peter Gabriel

멀리서 들려오는 에코 걸린 외침으로부터 시작되는 피터 카브리엘의 ‘The Rhythm Of The Heat’ 는 거리감을 확연하게 확인시켜줄 만큼 원근감이 크다. 마치 스피커 뒤편에 외침의 주인공인 어린이와 피터가 함께 노래하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든다. 이어 드럼 연주에서 타격감은 육중하게 천둥처럼 타격감이 크고 저역은 매우 깊게 가라앉는 느낌을 준다.

약음의 미세한 속삭임, 작은 비트의 드럼 소리도 놓치는 법이 없다. 하이라이트는 후반에 작열한다. 아프리칸 리듬의 혼란스러운 비트와 약동하는 생동감이 무대를 흥건히 땀으로 적실만큼 정보량과 실체감이 돋보인다. 다이내믹레인지는 매우 넓고 대역 또한 넓지만 고역보다는 중, 저역 쪽에 강점이 있다.






Responsive image
Marcus Miller - Detroit

Renaissance

브라이스턴은 과거에 비해 더욱 신중해졌고 무게감이 더해졌다. 마커스 밀러의 'Detroit'에서 빠른 스피드와 새김이 깊은 일렉트릭 베이스 연주는 굴곡이 깊고 강력한 힘이 담겨 있다. 물론 뭔가 따스하다거나 촉촉한 느낌의 베이스 터치는 아니다.

하지만 절대 가볍거나 얇게 흩날리는 느낌은 어떤 대역에서도 발견할 수 없다. 시종일관 실제 녹음된 악기의 두께, 밀도감, 힘의 강/약이 매우 정확하게 표현되며 특히 밀도감이 높다. 저역은 타이트하며 탄력이 넘쳐 베이스 현이 공처럼 튕겨오를 듯하다. 맺고 끊는 셈, 여림 조절의 구분이 명확해 음영 대비가 크고 에지가 살아있다.






Responsive image
Alice Sara Ott & Francesco Tristano -A soft shell groove

Scandle

앨리스 사라 오트와 프란체스코 트리스타노가 함께한 ‘A soft shell groove’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손놀림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스피드는 마치 번개처럼 빨라 상쾌하다. 과거 브라이스턴과 전체적인 스타일 자체는 동일하지만 전대역에 걸친 주파수 특성 자체에서 감쇄가 덜하고 선형적이다. 배음 표현 또한 스펙트럼이 넓고 상대적으로 풍부해진 인상이다.

모범적이며 정확한 스타일이지만 지나치게 건조하고 기계적인 소리로만 흐르진 않는다. 이 곡에서 중반이 가까워질 때 초저역은 놀랍다. 다른 무엇보다 초저역의 깊은 울림은 최근 들었던 DAC 중 코드 DAVE 와 함께 가장 깊고 명료한 탑 클래스 수준이다.






Responsive image
KammerOrchester Basel Antonini - Beethoven Triple Concerto

Beethoven Triple Concerto

베토벤 트리플 콘체르토를 들어보면 무대를 얼마나 입체적으로 재현해주는지 알 수 있다. BDA3 의 무대는 무척 역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악기들의 이미징은 매우 정교하며 미동도 없이 그 위치가 명확하게 보인다. 바이올린이 치고 나오다가 순식간에 그 옆으로 첼로가 앞서나오면서 이후엔 다시 합주하며 겹쳤다 떨어졌다 반복된다.

우측으로 갑자기 피아노가 등장하며 빠르게 페시지를 이어받기도 한다. 추진력이 뛰어나며 입체적인 무대 표현 덕분에 자칫 지루할 수 있는 클래식 레코딩에서도 박진감이 넘친다.





Responsive image

"총평"



브라이스턴 BDA3 의 소리는 균형잡힌 남성적 사운드다. 모든 레코딩에서 장르와 관계없이 힘이 강력하게 실려 있어 전방으로 좀 더 밀고 나오는 느낌으로 재생한다. 음장 또한 넓고 호쾌한데 특히 협주곡이나 대편성 오케스트라 재생에서 장점이 많다. 일주일정도 들으면서 계속해서 말러와 브루크너 그리고 잘 듣지 않던 피터 가브리엘의 음악도 더 많이 즐길 수 있었다. 어떤 음악을 들어도 장르 또는 PCM, DSD 와 관계없이 BDA3 는 나에게 이게 사실 스튜디오에서 방금 전 마스터링을 마친 음원이라고 주장하는 듯했다.

BDA3 의 강건하고 싱싱하며 기골이 장대한 소리 특성은 때때로 내게 윌슨, 락포트 등의 스피커를 연상하게 만들기도 했다. 물론 컨피던스 C4에서 흘러나오는 소리였다. 음향적인 면에서는 역시 프로페셔널 모니터의 신뢰가 깊게 느껴지며 기능적으로는 영상 소스의 음향까지 업그레이드해서 즐길 수 있는 흔치 않은 DAC 다. 기본에 충실에 성능에 기특한 기능 등 때마다 바뀌는 유저의 요구에 부응하며 조용히 소임을 다하는 두 얼굴의 야누스같은 DAC이다.



Written by 칼럼니스트 코난


Specification


Inputs
4x HDMI, 2x USB 2.0 Type B, 2x S/PDIF (1x BNC, 1x RCA), 1x Optical (TOSLINK), 1x AES/EBU

Outputs
HDMI, RCA, XLR

Control
TCP/IP, IR, DC, RS-232

Features
Dual 32Bit AKM DAC IC's
Discrete Class A analog output stage
Independent analog and digital signal paths
Independent power supplies
Massive support for different PCM and DSD resolutions
HDMI video pass-through with audio out (4K video pass-through)

Options
Available with silver or black faceplate
17” or 19” faceplate available
Rack mountable option available (2U)
BR2 remote control available (see Accessories in Other Products

Physical
3.63” H x 17” W x 11.12” D (17" Faceplate)
92.20mm H x 431.8mm W x 282.45mm D (431.8mm faceplate)
3.63” H x 19” W x 11.12” D (19" Faceplate)
92.20mm H (50.8mm W/O feet) H x 482.6mm W x 282.45mm D (482.6mm faceplate)
8.5 lb/3.9 kg

Bryston BDA-3 DAC


수입사
GLV

수입사 연락처
02-424-2552

수입사 홈페이지
www.glv.co.kr
Total 57건 3 페이지
게시물 검색